콧속에 뾰루지가 나거나 코막힘이 심해지고 코를 만지면 아픈 경우가 있는데요. 스치기만 해도 통증이 느껴져 아프고 콧속이 부어 몹시 불편해집니다.
이렇게 콧속 부음이 있는것은 알레르기 비염이거나 코에 종기가 났거나, 염증이 생기거나 혹은 시술 후 나타나는 증상등으로 다양한 원인이 있는데요. 오늘은 콧속 부음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 대처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콧속 부음 원인
1.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비염 증상일경우 코가 붓거나 맑은 콧물이 줄줄 흐르는 증상이 있는데요. 찐득한 콧물이 가득하며 코점막이 충혈됩니다.
비염은 면역력이 떨어지면 반드시 찾아오는 질병인데요. 감기와 함께 잘 찾아오며 비염이 심해지면 축농증이나 중이염으로 발전합니다.
비염일 경우 폐가 차가워지고 약해진 상태인데요. 특히 14세 이전에는 비염일 경우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비염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과 스트레스 관리갖 중요한데요. 폐가 차가워진 상태이므로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찬음료를 피해야 합니다.
비염환자에게 적정한 실내 온도는 18도~22도이며 습도는 45%입니다. 적절한 온습도를 유지하고 실내 환기도 주기적으로 해주는것이 좋습니다.
또 유제품이나 밀가루, 인스턴트, 커피, 콜라등은 비염을 악화시키므로 삼가해야 하며 체온이 내려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체온이 내려가면 코안이 더욱 부어 비염을 악화시키기 때문이죠.
평소 알레르기가 있다면 되도록 피하고, 알레르기 비염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는것도 중요합니다.
2. 비중격만곡증
평소 한쪽 코가 자주 막힌다면 비중격만곡증을 의심해봐야 하는데요. 코감기나 비염처럼 흔한 코 질환 중 하나로 성인 60~70%가 앓고 있는 병입니다. 비중격만곡증은 콧구멍을 나누는 벽인 비중격인 휘어지며 생기는 질병인데요. 코뼈 골절이나 성장기 잘못된 습관으로 인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증상은 한쪽 코막힘이 심하며 입으로 숨쉬는 경우가 많아 구취를 유발하기도 하는데요. 목감기에 자주 노출되며 두통을 동반하며 수면질이 저하됩니다. 특히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 기억력 감퇴를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비중격만곡증은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며 코속을 수술하므로 흉터가 남지 않습니다. 만약 본인이 코막힘이나 코골이가 심하다면 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아보는것이 좋습니다.
3. 시술 후 증상
코필러나 수술등을 한 경우 나타나는 증상일 수 있는데요. 시술의 경우 통증이나 이물감이 거의 없거나 몇일내로 사라집니다.
하지만 실을 주입하는 시술은 통증이나 붓기가 좀더 오래가는 편입니다. 일주일정도 경과를 지켜보고 나아지지 않으면 시술한 병원에 문의하는것이 좋습니다.